본문 바로가기

철학사조

간호인문의 기반이 되는 주요 철학사조(2) - 현상학, 실존주의, 포스트모더니즘, 페미니즘 현상학 르네상스 이후 비약적으로 발전한 자연과학의 실증주의와 객관주의에 대한 회의로 등장한 대표적인 철학 사조로서 후설에 의해 학문으로 출발하였다. 후설은 "이념의 옷이 우리로 하여금 하나의 방법인 것을 참된 존재로 여기게 만든다."라고 하였다. 그는 과학주의가 그 사태의 본질을 합당하게 파악할 수 있는 가능성을 차단한다고 하면서 '사태 그 자체로' 돌아갈 것을 요구하였다. 현상학은 세계와 다양한 실재적 또는 상상적인 대상의 존재를 세계가 그러한 것으로서 우리에게 나타내고 있는 현상의 본질 구조를 만나고자 하며, 현상학적 방법은 우리의 순수의식에 직접 주어지는 체험을 통해서 사물의 본질을 직관하는 방법이다. 흔히 현상학을 주관적이라고 생각하지만, 후설은 이 철학을 모든 과학 중에 가장 객관적이고 엄격한 .. 더보기
간호인문의 기반이 되는 주요 철학사조 (1) - 경험주의, 실증주의, 합리주의, 실용주의 간호 인문의 기반이 되는 주요 철학 사조에는 경험주의, 실증주의, 합리주의, 실용주의, 현상학, 실존주의, 포스트모더니즘, 페미니즘을 들 수 있다. 경험주의 모든 지식의 근원은 경험에서 비롯된다고 믿는 철학적 입장이다. 경험론은 이미 고대 그리스의 소피스트, 원자론자, 에피쿠로스 학파 등 고대 철학에서 찾아볼 수 있고, 17세기 폭발적인 과학의 발전과 지식의 증가와 더불어 확고한 위치를 갖게 되었다. 신비했던 자연현상에 대해 과학기술을 사용한 직접적 관찰과 실험이 가능해지면서 감각적 정보에 대한 열광과 확신을 불러일으켰고, 따라서 경험적 사실은 참지식의 근원으로 굳건한 믿을 주고 되었다. 로크 '마음이란 백지 또는 암실이며, 모든 지식은 감각과 반성을 통하여 외적으로 주어지는 문자이며 빛' 경험주의는 경.. 더보기